📌 서론https://www.npmjs.com/package/@react-native-seoul/kakao-login @react-native-seoul/kakao-loginReact Native Module for Kakao Login. Latest version: 5.4.1, last published: a year ago. Start using @react-native-seoul/kakao-login in your project by running `npm i @react-native-seoul/kakao-login`. There are no other projects in the npm registry using @rwww.npmjs.com @react-native-seoul/kakao-logi..
📌 Node.js 및 yarn 설치하기Node.js가 설치 되지 않았다면 nvm 및 공식 홈페이지에서 설치해주세요.npm i -g yarnyarn -v // 버전이 표시된다면 정상 설치패키징할 때 사용할 electron-builder라이브러리가 yarn 사용을 강력 권장하기 때문에 글로벌로 설치해줍니다. 📌 React 앱 설치npx create-react-app electron_react --template typescript 📌 Electron 패키지 설치npm i electron-is-devnpm i -D electron electron-builder concurrently cross-env wait-on위에서 설치한 패키지는 다음과 같습니다.electron-is-dev개발 환경과 프로덕션 환..
리액트 네이티브에서 bottom sheet을 사용하는 방법을 작성하고자 한다. Bottom Sheet란?Bottom Sheet란 사진처럼 아래에서 올라오는 컴포넌트를 의미한다. UX를 고려하여 thumb zone에 맞게 적절한 높이를 지니고 있으며 다양한 앱 및 웹 서비스에 쉽게 볼 수 있는 컴포넌트이다. 이를 별도 라이브러리 없이 구현하고자 하였으나, 여러 문제가 발생했고 npm 통계 상 라이브러리가 매우 자주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여 성능에 문제가 없겠다 싶어 라이브러리를 적용하기로 했다. https://www.npmjs.com/package/@gorhom/bottom-sheet @gorhom/bottom-sheetA performant interactive bottom sheet with full..
Backend for Frontend. 프론트엔드를 위한 백엔드이는 프론트엔드를 위해 설계한 백엔드 구조를 의미한다. 이를 알기 위해서는 MSA를 먼저 알아봐야 한다. MSA(MicroService Architecture)란MSA는 Microservice Architecture의 약자이다. 독립적인 배포가 가능한 서비스들로 구성된 아키텍처라는 의미를 갖는다. 기존에는 모든 서비스가 한 곳에 모인 Monolithic한 구조로 개발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서비스의 규모가 커지면 Monolithic한 구조로는 해결이 어려운 문제들에 직면하게 된다. MSA에서는 각 서비스를 도메인별로 분리시킨다. 서비스는 작은 서비스의 집합으로 구성되며 각 서비스는 독립적이고 단일 비즈니스 기능에 대한 책임만을 가진..